반응형 전체 글89 현재 모두가 주식에 미쳐있다.(주식 과열) 로아로니의 블로그 주식을 시작한 지 어느새 1년 정도가 됐다. 시작은 코로나 대폭락 직전이었으니 주린이가 겪은 코로나 폭락은 너무나 무서웠고 그때 하나도 주워 담질 못했다. 더 떨어질까 봐 두려웠고 더블딥이 올까 봐 두려웠다. 그때 분명 IMF 금융위기나 리만사태 때처럼 언젠가는 주식이 상승할 거란 걸 알았지만, 피 같은 돈을 선뜻 하락장에 투자할 순 없었다. 더욱이 결과를 놓고보면 너무나도 회복은 빨랐고 그에 넘치는 상승장이 이어졌다. 금요일에 3%로 하락하며 3000을 무너뜨렸다. 이에 사람들은 다들 눈치보기 바쁘다. 거기에 게임스탑 이슈가 공매도와 함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는데 이게 폭락의 전조가 될 거라는 사람들도 있다.(아무래도 기관의 투자를 보수적으로 만들기에) roaroni.tistory... 2021. 2. 1. 소유권 이전 등기(잔금일) 절차, 주의사항 안녕하세요, '로아로니'입니다. 어제 첫 등기를 쳤는데요. 계약 후 등기까지 두 달 동안 부동산 관련해서 모든 게 처음이기에 엄청난 스트레스에 시달렸습니다. 입 밖으로 말도 잘 안 꺼냈는데요. (무언가 복이 날아갈 것 같은 느낌이라서요.) 특히 잔금일 전날엔 과연 절차나 주의사항이 어떤 게 있을까 여러 후기를 살펴보고 검색을 했습니다. 딱 맘에 드는 내용이 없어 제가 이제는 경험을 토대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부동산으로 출발하기 전, 모든 준비사항을 꼼꼼히 확인한다. - 매수인 준비물 : 주민등록등본, 주민등록초본, 매매계약서, 가족관계증명서(상세, 주민등록번호 포함), 도장 - 혹시 차입금(예, 부모님으로부터의 차용)이 있다면 잊지 말고 받아 둔다. - 마지막으로 잔금이 계좌에 잘 있는지 확인한다... 2021. 1. 31. [헷지] 달러 투자 쉽게 하는 법 - KODEX 미국달러선물 매수 달러 투자하는 법 주식, 부동산 등 자산 투자가 연일 상승하는 만큼 큰 관심을 받고 있는 헷지 *헷지(hedge)란? 사전적으로 '대비책'이라는 뜻. 상승이 있다면 하락이 오는 건 당연한 이치라 이 하락에 대비하는 안전책이라고 볼 수 있다. 분산투자나 자산배분도 이에 해당하며 보통은 현재 상승장에 반대되는 상품이나 안전자산을 의미한다. 전통적으로 금, 달러, 채권등의 투자 방법이 있다. 채권이 뭔지는 지난 포스팅에서 알아보았다. 투자에서 '채권'이란 무엇일까? 경제, 제테크 공부를 하면서 채권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매주 챙겨보는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단어이다. 그냥 들어서는 한번에 이해가 안되고 개념이 참 어렵다. 이 roaroni.tistory.com 이번엔 금, 달러를 .. 2021. 1. 27. ETF의 의미, [ARIRANG미국나스닥기술주] 구입 ETF란? Exchage Traded Fund 약자 다른 말로, 상장지수펀드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펀드로 거래소에 상장이 되어있어 은행에 가서 계좌를 개설해야 하는 게 아니라 개별주식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주식계좌를 통해 거래를 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네이버에 etf라고 검색만해봐도 다양한 종류의 etf를 확인할 수 있다. 각 etf앞에 붙은 영어단어는 자산운용사를 의미하는데 KODEX - 삼성자산운용 TIGER - 미래에셋자산운용 KINDEX - 한국투자신탁운용 등이 있다. ETF의 장점 단일주가에 비해 저렴하고 1좌를 거래할 수 있어 최소한의 금액만으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율적인 투자수단이라 할 수 있다. 펀드보다 운용보수가 낮고(펀드매니저가 없기에) 주식에 적용.. 2021. 1. 2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3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