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9

투자에서 '채권'이란 무엇일까? 경제, 제테크 공부를 하면서 채권이란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매주 챙겨보는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단어이다. 그냥 들어서는 한번에 이해가 안되고 개념이 참 어렵다. 이번 기회에 사전적 정의 및 투자개념으로서의 채권의 뜻까지 알아보자. 채권 빚 [채], 문서 [권] 즉, 빚을 진 문서라는 뜻. 대출을 받을 때는 우리는 이자를 낸다. 반대로 대출을 해주는 사람은 이자를 받는다. 즉, 대출을 해주는 사람은 이자를 수령하게 되니, 이는 일종의 투자 수단이 될 수 있음. 대출을 해주는 사람 = 채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 = 채권자라 부른다. 여기서 채권은 정부, 공공기관, 기업 등이 일반 대중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을 의미한다. 채권을 발행하는 기관 입장 .. 2021. 1. 25.
테슬라 1주 구입 별명 : 돈복사기 1년 전부터 지켜보던 주식 테슬라 분할도 전에 천슬라하던 거 똑똑히 기억하는데 분할 후에도 또 천슬라를 눈 앞에 두고 있다. 이제 와서 후회해봤자 다시 오지 못할, 저렴했던 금액 아무래도 주가만큼 실적이 받쳐주지 않기에 매수하기 꺼렸다면 지금 시장은 흔히 말하는 미친 시장이라 같이 미치지 않은 사람이 비정상이 되는 그런 장이다. 2020년도부터 2021년까지 화두는 항상 전기자동차와 배터리인데 지금 저만치 앞서가 있는 테슬라를 따라가는 게 쉽지 않아 보인다. 이제야 테슬라에 투자할 마음이 진성으로 생겼다. 재작년(2019)년 10월에 테슬라가 뭔지도 모른 채 타보고 정말 신기했던 테슬라 늘 그렇듯 1주 먼저 사서 시장에 발을 들여놓고 추이를 보다가 추가.. 2021. 1. 24.
주식관련 용어 - 뇌동매매, 인간지표 뜻 뇌동매매 雷同賣買 투자자의 독자적이고 확실한 시세 예측에 의한 매매거래가 아닌 시장 전체의 인기나 다른 투자자의 움직임에 편승하여 매매에 나서는 것으로 노이즈트레이더(근거 없는 루머에 의한 투자)의 투자행태 뇌동매매는 간혹 주가를 급등 또는 급락시킴으로써 주식시장에 혼란을 가중, 수급불균형이 발생하기도 한다. 특히 개인적으로는 투자할 때보다 손절할 때 (나도모르게 ㅠㅠ) 뇌동매매로 하는 경우가 많다. - 이 경우 단어의 활용 : 주식 손절 원인 뇌동매매 또다른 활용 예시 인간지표 개인의 심리를 이용한 분석지표로 주식장에는 상승, 하락에 따른 심리적 요인도 작용하는데 이 때의 개인투자자의 심리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 이를 이용해 매수시기다 매도시기를 결정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주식을 매수하면 떨어.. 2021. 1. 22.
주식용어 - 공매도, 숏, 숏커버링, 인버스 뜻 주식 관련 자주 보이는 용어 정리 공매도 = 숏 (short stock selling) 가지고 있지 않은 주식을 파는 것 즉 주가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그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후 향후 주가가 하락하면 그 종목을 싼 값에 매수해 주식 대여자에게 돌려주는 방법으로 시세차익을 실현하는 매매법 *주로 초단기 매매차익을 노릴 때 사용되는 기법 숏커버링 공매한 주식을 매수하는 것 공매도(숏)의 반대말 *숏커버링을 하는 이유 1. 공매도를 하였는데 주가가 상승할 경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2. 공매도가 많은 종목들은 주가수익비율(PER)등의 지표가 좋고 성장성이 높기 때문 (대게 우량주로 주가가 하락하더라도 다시 반등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 ex. 투자기간을 오래잡고 투자하는 경우 외국인이 공매도.. 2021. 1.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