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89

M2가 뭐길래 올해 경제 전망을 얘한테 달려있대. M2 → 총통화, 광의통화, 우선 M1보다 넓은 개념이란다. : M1 + 저축성예금 [ex.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펀드), 양도성예금증서 등 시장형 상품,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수시입출식 금융상품(CMA)] 그럼 M1은 뭐야? → 협의통화 : 즉시 사용이 쉬운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즉, 총통화란 현금통화에, 언제나 맘대로 은행에서 찾아 쓸 수 있는 요구불 예금과 해약하면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저축성 예금까지 포함하며, 시중의 통화량을 잘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지표이다. 이제 배운 개념의 적응을 위해 몇가지 기사를 찾아보았다. 2019년에 비해 2020년 M1, M2 증가량이 상당한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은 M1/M2 비.. 2021. 1. 1.
20년 후 가족의 재구성 - 김용섭 유튜브에서 꽤 흥미로운 영상을 접했다. 미래의 가족변화에 따른 강연자의 날카로운 통찰력이 돋보이는 강의였다. 주요 키워드를 정리해보았다. - 동물(개, 고양이) vs 가정 꾸리기 개인의 삶을 존중하는 각방을 쓰는 부부 20년 이상 살고 이혼하는 케이스 증가 결혼을 안하는 이유는? 경험(결혼에 대한 주변인들의 회의감) > 돈, 육아 서양처럼 이혼하고도 잘 어울리는 문화 증대 - 현재 '우리 이혼했어요' 같은 프로그램만 봐도 와닿는 부분이다 부부간(개인간) 약한 유대 - 극단적 개인주의의 증가 동거에 대한 태도는 계속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인구감소하면 뭐가 나쁜데? 일자리 지금도 없다며 강연자는 말한다. -사회의 생산력을 생각하면 인구감소가 문제있지 않을까. 개인족으로는 인구감소는 큰 사회적 문제라고 생.. 2021. 1. 1.
2090년 미래 계급 전망, 충격적인건가? 무려 서울대 교수팀이 발표한 2090년 미래 계급 전망 사실 3계급인 AI를 제외하면 현재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중산층은 빠르게 없어지고 있으며 빈부격차는 겉잡을 수 없는 속도로 벌어져간다. 가만히 있는다고 해서 제자리를 유지하는 게 아니라 추락하고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2020. 12. 31.
부자가 되기 위해 다짐하고 또 다짐해야하는 40계명 1. 나는 '빠르게 부자 되기'가 불가능한 일이라고 치부하지 않을 것이다. - 그러나 그게 '쉽다'는 뜻은 아니다. 2. 나는 서행차선이 내 꿈을 묻어 버리게 두지 않을 것이다. 3. 나는 서행차선 예언자들의 교리에 나의 진실이 오염 당하게 내버려 두지 않을 것이다. 4. 나는 서행차선이 유일한 계획이 아니라 계획의 일부가 되게 할 것이다. 5. 나는 주말을 위해 내 영혼을 팔지 않을 것이다. 6. 나는 부를 향한 여정을 대신해 줄 사람을 기대하지도 찾지도 않을 것이다. 7. 나는 내 시간을 돈과 맞바꾸지 않을 것이다. 8. 나는 내 재무 계획을 시간의 통제하에 두지 않을 것이다. 9. 나는 내 재무 계획에 대한 통제력을 잃지 않을 것이다. 10. 나는 시간이 얼마든지 있다고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11.. 2020. 12.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