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0년 3월 16일 '빅컷'(1.25%→0.75%)
2020년 5월 28일 추가 인하(0.75%→0.5%)
2개월 만에 0.75%포인트 하락
그리고 금일 한은이 금리 0.5% 동결을 발표했다.
1. 한국 경제상황상 금리 추가 인하 필요성이 없다.
- 금융시장은 비교적 안정
- 자산시장(부동산, 주식) 과열
-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 가능성은 지속
2. 미국 연준 기준금리(0.00~0.25%)와의 유지
- 더 내릴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유출
- 원/달러 환율 영향
뉴스를 봐도 이미 현재 기준금리가 실효하한임에도 불구하고 왜 안 올리는지가 아니라 왜 더 안내리는지에 대한 이유만 나열하니 재미있다.
.
바이든은 경기부양안으로 2080조를 더 푼다고 한다.
아직은 유동성을 걷어들일 때는 분명 아니다.
시장에 풀린 많은 돈. 어디로 갈까?
자산시장은 당분간 상승세일 듯 하다.
누구나 현재시장에 거품이 있다고 말한다.
상승장이 지속되면
하락장이 온다는 건
어린아이도 할 수 있는 말일것이다.
주식은 공매도가 언제 풀리느냐가 관건.
부동산은 누가 마지막 폭탄을 피하느냐일 듯.
728x90
'금융 무지 탈출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재 모두가 주식에 미쳐있다.(주식 과열) (0) | 2021.02.01 |
---|---|
래미안 원베일리 정보 (원베일리 뜻) (0) | 2021.01.17 |
월급 118년 모아야 살 수 있는 서울아파트 (0) | 2021.01.14 |
<1월 첫주> 코스피 상승률은 세계 1위, 마통 증가로 또 금감원 등장 (0) | 2021.01.10 |
M2가 뭐길래 올해 경제 전망을 얘한테 달려있대. (0) | 2021.0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