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식 처음 시작할 때 가장 헷갈리는 용어 중 하나인 예수금, 증거금.
그리고 익일정산금액, 다른 말로 d+1과 d+2 뜻까지 알아볼게요.
(1) 예수금
*예수금
영어로는 Deposit
- 거래 관련해 임시로 보관하는 자금
- 금융거래상 예수금은 금융기관이 이자지급 등을 조건으로 고객으로부터 수령한 자금
: 즉, 고객 입장에서는 예치금
: 증권사 입장에서는 매매대금, 증거금을 의미해요.
(2) 증거금
*증거금이란?
- 주식거래시 매매를 위해 고객이 예탁해야 하는 총 거래대금의 일부
or 선물거래시 선물계약의 이행 보증을 담보하기 위해 고객이 예탁해야 하는 금액
: 즉 주식 결제를 이행하기 위한 보증금 개념
(소유권 없이 고객의 자금을 임시로 보관, 관리하다가 되돌려줘야 하는 자금이라는 면에서는 모두 예수금이에요.)
- 돈을 수령한 쪽에서 자금의 보관, 관리는 할 수 있지만 소유권은 계속 돈을 지급한 사람에게 있어요.
(3) d+1(익일정산금액), d+2
*d+1(익일정산금액), d+2 뜻
- hts나 mts를 이용해 실시간 주문을 사고팔더라도
실제 결제는 주문을 매수, 매도한 후 2거래일 후 결제가 됩니다.
- d+1, d+2는 각각 하루, 이틀후의 결제 후의 금액을 미리 알려주는 것을 의미해요.
증권사는 주문을 대리하는 업무를 하기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그래서 단타를 자주 하는 경우 이 예수금 계산이 복잡해질 수 있어요 ㅠㅠ
모두 예수금, 증거금, d+1, d+2 계산 잘해서 현명한 주식 투자 하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로아로니
'금융 무지 탈출하기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용어 티커(Ticker) 뜻 (0) | 2021.02.24 |
---|---|
삼성전자'우' :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 (2) | 2021.02.18 |
주식용어 평단, 분할매수, 물타기, 불타기 뜻 (0) | 2021.02.10 |
주식용어 숏포지셔닝(숏포지션), 숏스퀴즈 뜻(ft. 게임스탑) (0) | 2021.02.04 |
[헷지] 달러 투자 쉽게 하는 법 - KODEX 미국달러선물 매수 (0) | 2021.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