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아로니입니다.
주식을 하다 보면 평단이란 말이 많이 나와요. 문맥상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은데 막상 정확한 뜻은 잘 모르겠더라고요.
그래서 주식 용어 '평단' 뜻을 한번 찾아봤어요. 그리고 비슷한 용어 ‘분할매수', '물타기', '불타기' 뜻도 같이 알아볼게요!
*'평단' 뜻
= 평균매수단가, 평단가
- 즉, 매수한 주식의 평균 단가를 의미
같은 종목의 주식을 한 번만 매수할 수도 있지만 여러 번 매수할 수도 있겠죠? 주식의 특성상 주가는 매일, 매시간마다 다른데요. 이렇게 여러번 매수한 주식(분할매수)의 평균 단가를 줄여서 평단이라고 합니다.
↓
*'분할매수' 뜻
- 많은 양의 특정 주식을 몇 번에 나누어 사들이는 것
- 주로 그 주식의 가격 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많은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져요.
- 보통 분할매수시 평균 매입단가가 낮아져 안정성과 수익성을 모두 얻을 수 있어요.★
(주린이들이 꼭 적용하면 좋은 태세겠죠??)
예를 들어, 자본의 일부만 우선 투자하고 이후 상황에 맞게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이죠. 이때 추가 매수하는 것은 주식 용어 물타기, 불타기라고 말하기도 해요.
*'물타기' 뜻
- 희석한다는 개념
- 매수한 종목의 주가가 하락했을 때 추가 매수를 통해 평균단가를 낮추는 것
*'불타기' 뜻
- 물타기의 반대되는 용어
- 매수한 종목의 주가가 상승했음에도 추가 매수를 하는 것
보유중인 주식이 우상향 한다고 예측해서 계속 들고 간다면 분할매수를 통해 물타기든 불타기든 할 수 있겠죠?
*평단가 계산기
- 평단가 계산기라는 것도 있어 평단을 쉽게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
여러번 분할매수를 한 종목은 이미 hts나 mts의 매입 가격을 통해 평단을 볼 수 있지만, 추가 매수 예정인 경우, 평단가 계산기를 통해 매수 후 평단을 미리 알아볼 수 있어요.
검색창에 '주식 평단가 계산기'라고 검색하면 쉽게 이용할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는 주식을 할 때 이슈나 감정에 의존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기준을 삼고 기계적으로 매수하고 매도하는 게 좋은 자세라고 생각해요. 그러기 위해서 분할매수나 평단에 대한 개념을 알아두는 것이 주요한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주식용어 평단, 분할매수, 물타기, 불타기 뜻을 알아봤습니다. 모두 주식으로 좋은 재테크 하시길 바래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 로아로니의 블로그
'금융 무지 탈출하기 > 주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우' : 우선주와 보통주 차이 (2) | 2021.02.18 |
---|---|
[주식용어] 예수금, 증거금, d+1(익일정산금액), d+2 뜻 (2) | 2021.02.15 |
주식용어 숏포지셔닝(숏포지션), 숏스퀴즈 뜻(ft. 게임스탑) (0) | 2021.02.04 |
[헷지] 달러 투자 쉽게 하는 법 - KODEX 미국달러선물 매수 (0) | 2021.01.27 |
ETF의 의미, [ARIRANG미국나스닥기술주] 구입 (0) | 2021.01.26 |
댓글